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허준 (드라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허준》은 조선 선조 시대를 배경으로, 천민 출신 허준이 온갖 역경을 극복하고 명의가 되어 《동의보감》을 편찬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드라마이다. 1999년 MBC에서 방영되어 63.5%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한류 열풍을 타고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드라마는 허준의 생애를 중심으로, 유의태와의 만남, 내의원 생활, 《동의보감》 편찬, 유배 생활 등을 다루며, 주인공 허준 역은 전광렬이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허준을 소재로 한 작품 - 마녀보감
    마녀보감은 tvN에서 방영된 판타지 로맨스 사극으로, 저주받은 공주 서리와 조선 최고의 의관이 될 허준의 운명적인 사랑을 그리고 있으며 궁중 암투와 흑주술, 악역과 조력자들의 이야기로 긴장감을 더한다.
  • 허준을 소재로 한 작품 - 구암 허준 (드라마)
    2013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구암 허준은 소설 동의보감을 원작으로 김주혁, 박진희, 백윤식 등이 출연하여 허준의 파란만장한 삶과 의성으로서의 성장 과정을 그린 일일 특별기획 드라마다.
  • 최완규 시나리오 작품 - 야망의 전설
    야망의 전설은 1998년 KBS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권력과 야망을 쫓는 인물들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작품이며 채시라, 유동근, 최수종 등 당대 최고의 배우들이 출연, 실미도 사건을 중심으로 극의 방향을 전환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 최완규 시나리오 작품 - 그들의 포옹
  • 문화방송의 의학 드라마 - 마의 (드라마)
    마의는 조선 시대 최초 한방 외과의 백광현의 파란만장한 삶과 의학 세계, 그리고 마의에서 어의가 되는 성공 스토리를 그린 휴머니즘 드라마다.
  • 문화방송의 의학 드라마 - 병원선 (드라마)
    2017년 MBC 드라마 병원선은 의료 환경이 열악한 도서 지역에서 배를 타고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들의 성장 이야기로, 하지원, 강민혁, 이서원 등이 출연하고 다양한 OST와 해외 방영으로 주목받았다.
허준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홍보 이미지
홍보 이미지
원어 제목허준
한자 표기許浚
로마자 표기Heo Jun
다른 이름"허준: 전설의 의사"
"의술의 길: 웅장한 의사 허준(대만)"
의술의 길(홍콩)
장르사극
극본최완규
연출이병훈
출연전광렬
황수정
이순재
제작 국가대한민국
사용 언어한국어
에피소드 수64
촬영김영철
제작사MBC 자체 제작
방송 채널MBC TV
최초 방송일1999년 11월 22일
최종 방송일2000년 6월 27일
관련 작품허준, The Original Story
제작진
원작이은성의 소설 허준
조연출김상래, 김근홍
프로듀서(정보 없음)
방영 정보
방송 기간1999년 11월 - 2000년 7월
방송 시간매주 월, 화요일 밤 9시 55분
방송 분량60분
기타 출연진
출연진홍충민
김병세
전혜선
박정수
임현식
이희도
김해숙
박찬환
박주미
임호
한인수
윤여정
변희봉
정욱
조경환
음악
여는 곡허준 OST - 지요일선도(只要一善道)
닫는 곡(정보 없음)
외부 링크
외부 링크MBC 문화방송 허준 다시보기 (유료)

2. 역사적 배경

허준은 조선 선조 시대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 시기는 장금이 사망한 지 50년 후로, 조선 사회는 엄격한 신분제와 서얼 차별 등 사회적 불평등이 만연했다.[1] 허준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서얼 출신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조선은 임진왜란이라는 큰 전쟁을 겪으면서 사회 전체가 혼란에 빠졌다. 전쟁으로 인해 백성들의 삶은 피폐해졌고, 질병이 창궐하며 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에서 허준은 백성들을 치료하고 의학을 발전시키는 데 헌신했다.

전쟁 이후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는 과정 또한 순탄치 않았다. 선조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었고, 영창대군과 광해군 사이의 권력 다툼은 궁중 내 긴장을 고조시켰다. 허준은 이러한 정치적 격변 속에서도 의원으로서의 본분을 다하려 노력했다.

2. 1. 조선 전기 사회와 신분제

이 섹션은 '허준 (드라마)'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을 간략하게 언급하는 수준으로 수정합니다.

조선 전기 사회는 엄격한 신분 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서얼 차별과 같은 사회적 불평등이 존재했다. 허준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서얼 출신으로 어려움을 겪었다.[1] 당시 일반 백성들은 의료 혜택을 받기 어려웠다.[1]

2. 2. 임진왜란과 전후 복구

임진왜란으로 인해 조선 사회와 백성들의 삶은 피폐해졌고, 질병이 창궐하며 의료 체계가 붕괴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허준은 동료 의관들과 함께 전후 복구에 힘썼으며, 특히 의서 동의보감 편찬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2. 3. 광해군 시대의 정치적 격변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는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선조가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었다. 특히 영창대군과 광해군 사이의 권력 다툼은 궁중 내 긴장을 고조시켰다. 허준은 이러한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의원으로서의 본분을 지키려 노력했지만, 쉽지 않았다.

광해군은 결국 왕위에 올랐지만, 선조의 죽음에 대한 책임 문제로 허준을 반역자로 몰았다. 어의원 수석은 왕이 병으로 사망할 경우 책임을 져야 한다는 법 때문이었다. 그러나 광해군은 허준의 공로를 인정하여 형벌을 감경, 유배형을 내렸다.

3. 생애

허준은 평안북도 용천군수 허륜의 서자로 태어나 왈패 생활을 하다가, 반역죄인의 딸 다희와 사랑에 빠진다. 다희 아버지에게 도움을 주려다 약초 밀무역이 발각되어 경상도 산음현(지금의 산청군)으로 도망쳐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 그곳에서 명의 유의태를 만나 의술을 배우게 되고, 스승의 가르침과 반위(위암)으로 돌아가신 스승의 시신 해부를 통해 의학 지식을 넓히며 의원(의사)으로서 성장한다.

조선 조정에서 주관하는 내의원 의과에 응시하여 내의원에 들어간 허준은, 뛰어난 의술 덕분에 여러 어려움을 이겨내고 왕실의 인정을 받아 정승 반열에까지 오른다. 어의가 된 허준은 왕실의 건강을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선조가 붕어(왕의 죽음)하자 그 책임을 지고 유배를 떠난다. 유배 생활 동안 백성을 위한 의학 서적 편찬에 몰두하여, 동양 의학의 정수로 일컬어지는 《동의보감》을 완성한다.

1611년, 광해군허준에게 특사를 내리고 궁궐로 소환했지만, 허준은 이를 거절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백성들을 치료하는 데 헌신했다. 전국적으로 역병이 발생하자 치료법 연구를 위해 다시 어의원으로 소환되었으나, 과로와 역병 감염으로 1615년 사망했다.

3. 1. 출생과 초기 생애

허준은 평안북도 용천군수 허륜의 서자로 태어났다.[7] 어머니가 천민 신분이었기 때문에, 허준 역시 상놈으로 취급되어 많은 차별을 받았다.[7] 이러한 환경은 그가 왈패 생활을 하게 만들었다.[7]

그러던 중, 허준은 반역죄인의 딸인 다희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7] 그는 아픈 다희 아버지에게 도움을 주고자 국법을 어기고 약초 밀무역을 하다 발각되지만, 어머니의 간청으로 아버지의 도움을 받아 경상도 산음현(지금의 산청군)으로 도망친다.[7] 다희와 함께 산음에 도착한 허준은 그곳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7]

3. 2. 유의태와의 만남과 의학 수업

허준은 경상도 산음에서 명의로 알려진 유의태(이순재 분)의 밑에서 물지게를 지며 일하게 되었다. 유의태와 예진(황수정 분)의 도움으로 허준은 사람을 살리는 의술의 중요성을 깨닫고, 의술을 배우고자 하는 강한 열망을 갖게 된다.[7]

유의태는 허준에게 환자를 긍휼히 여기는 마음과 인간에 대한 경외심, 즉 인권 존중의 중요성을 가르쳤다. 허준은 스승의 가르침에 깊이 감복하였다. 이후 유의태는 반위(위암)으로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허준의 의학적 발전과 백성을 위한 의술을 펼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자신의 몸을 해부하도록 유언을 남겼다. 이는 당시 성리학적 관점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었다. 허준은 스승의 시신을 해부하며 의학 지식을 넓혔다.

허준은 유의태의 가르침을 통해 진정한 의술의 의미를 깨닫고 더욱 의술 연마에 정진하였다.

3. 3. 내의원 입성과 어의 활동

허준은 조선 조정에서 주관하는 내의원 의과에 응시하여 내의원에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내의원 생활은 허준이 생각했던 것과는 달랐다. 의술을 펼치기보다는 정치적인 암투와 경쟁이 만연한 곳이었다. 허준을 못마땅하게 여기던 유의태의 아들 유도지는 내의원에서 높은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온갖 술수를 부렸지만, 의학적 실력은 부족했다.

허준은 스승 유의태의 가르침과 뛰어난 의술 덕분에 여러 어려움을 이겨내고 왕실의 인정을 받게 된다. 끊임없이 의술을 연마하고 환자를 진심으로 대하는 허준의 모습은 결국 정승의 반열에까지 오르게 했다. 어의가 된 허준은 왕실의 건강을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하지만, 선조가 붕어하자(왕이 죽자) 그 책임을 지고 유배를 떠나게 된다.

어의원에서 허준은 그의 스승 유의태의 아들 유도지를 만났는데, 유도지는 부지런했지만 부도덕하게 승진하고 있었다.[1] 또한 허준은 20년 전 허준의 스승에게 침술 대결에서 패배한 어의원 영을 만났다.[1] 영은 허준과 유의태의 관계를 알고, 허준을 혜민서의 중요하지 않은 부서에 배치했다.[1] 혜민서에서 허준은 간호사로 일하는 예진을 만났다.[1] 예진은 비밀리에 허준을 사랑했지만, 그들의 관계는 항상 플라토닉했다.[1]

이 기간 동안, 영은 허준의 경력을 모든 면에서 제한했는데, 이는 국왕의 총애를 받는 후궁의 오라비가 위암으로 고통받게 되면서 끝났다.[1] 어의원의 의사들은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모든 가능성을 소진했지만 소용이 없었다.[1] 허준은 영이 할 수 있기 전에 5일 만에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했고, 이 일로 영이 가한 제한은 끝났다.[1]

한편, 도지는 어의원에서 꾸준히 승진하여 어의원 수석의 자리를 차지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1] 그러나 그가 책임지고 있던 왕자가 이상하고 심각한 병에 걸렸다.[1] 자신의 승진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실수를 인정하고 싶지 않았던 도지는 왕자를 허준에게 맡기고 그에게 책임을 떠넘기기로 결정했다.[1] 하지만 허준은 왕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했고, 이에 감사한 국왕은 허준을 정3품 벼슬과 어의원 수석으로 승진시켰다.[1]

3. 4. 유배와 《동의보감》 편찬

선조가 붕어(왕의 죽음)하자, 허준은 어의로서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유배형을 받았다.[8] 허준은 유배 생활 동안 스승 유의태의 염원이자 자신의 바람이었던, 백성을 위한 의학 서적 편찬에 몰두했다.

당시 조선 백성들은 중국의 의서와 의술에 의존했다. 허준은 우리 산천에서 나는 약재와 우리 백성에게 맞는 의술로 심신을 치료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노력은 유배지에서 동양 의학의 정수로 일컬어지는 《동의보감》의 완성으로 이어졌다.[8]

3. 5. 말년과 죽음

1611년, 광해군허준에게 특사를 내리고 궁궐로 소환했다. 하지만 허준은 이를 거절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백성들을 치료하는 데 헌신했다. 이때 전국적으로 역병이 발생하자, 허준은 치료법을 연구하기 위해 다시 어의원으로 소환되었다. 연구는 성공적이었으나, 허준은 과로와 역병 감염으로 1615년에 사망했고, 전국적인 애도 속에 장례가 치러졌다.

4. 주요 등장인물

배역배우
허준전광렬
예진 아씨황수정
유의태이순재
유도지김병세
김민세정욱
손 씨 (허준 모)정혜선
이다희 (허준 부인)홍충민
허륜 (허준 부)주현
양예수조경환
선조박찬환
인빈장서희
공빈박주미
광해군김승수
임오근임현식
오 씨 부인 (유의태 부인)박정수
의녀 소현성현아
구일서이희도
홍춘최란
안광익한인수
소비김은수
양태임대호
이정명임호
김상화여현수
어린 상화곽정욱
김만경맹상훈
성인철변희봉
정성필박영지
박만주이재포
함안댁김해숙
성명훈차광수
덕금엄유신
세희이현경
채선이주희
허겸오태경
언년이최은주
하동댁이숙
수연권연우
정태은정호근
배천수정명환
숙정조현숙
김병조주민준
정작박종관
송학규문회원
장학도정승호
공빈의 동생이영호
구황관찰사김주영
병자김영민
궁녀이유리



이야기는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주로 선조 임금의 치세, 즉 장금 (조선 최초의 여성 의사로 알려짐) 사망 50년 후를 다루고 있다.

허준은 천민 출신 어머니에게서 태어나 차별받는 환경 속에서 자랐다. 아버지 허륜은 지배 계급 출신으로 지방 수령이었지만, 어머니의 신분 때문에 허준은 상놈으로 여겨졌다. 그는 밀수 작전에 참여하던 중 망명 중인 상류층 여성 다희와 알게 되어 결혼하고 경상도 산음으로 이주했다.

어머니가 병에 걸리자 허준은 유명한 의원 유의태에게 도움을 청하고, 의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 그의 제자가 된다. 뛰어난 재능과 학구적인 자세로 빠르게 실력을 키웠지만, 아직 진료 기회를 얻지 못했다. 그러던 중 노부부의 의식을 잃은 딸을 혁신적인 치료법으로 소생시키면서 첫 환자를 치료하게 된다.

유의태는 처음에는 허준이 충분한 의학 지식을 갖추지 못했다고 오해했지만, 그가 치료한 환자들의 진단과 처방을 조사하고 그의 실력을 인정하게 된다. 이후 허준은 고위 양반 부인을 치료하며 어의원에 들어갈 추천서를 받는다.

한편, 다른 두 의사가 허준을 가르치기 시작했고, 그는 한양에서 열리는 의학 시험에 참여하기로 결심했지만, 위독한 환자를 치료하느라 시험에 응시하지 못했다. 얼마 후 유의태는 위암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고, 허준에게 자신의 시신을 해부하여 의학 지식을 높이도록 유언을 남기고 자살한다.

어의원에서 허준은 스승의 아들 유도지와 과거 침술 대결에서 스승에게 패배했던 어의원 영을 만난다. 혜민서에 도착한 허준은 간호사로 일하는 예진을 만나는데, 예진은 그를 비밀리에 사랑했지만, 그들의 관계는 플라토닉하게 유지되었다.

허준의 경력은 국왕의 총애를 받는 후궁의 오라비가 위암으로 고통받게 되면서 전환점을 맞는다. 허준은 5일 만에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했고, 선조 재위 22년 전국적인 역병이 발생했을 때 치료법을 연구하여 발견했다.

국왕의 후궁 김공빈이 심장 문제로 위독해지자 허준은 그녀를 치료하고, 국왕은 그에게 모든 범죄와 잘못을 면해주며 공빈의 주치의로 임명했다. 그러나 공빈의 상태는 악화되었고, 그녀가 죽자 허준은 전국을 여행하며 의술을 연마했다.

그동안 어의원에서 꾸준히 승진하던 유도지는 왕자가 병에 걸리자 허준에게 책임을 떠넘기려 했지만, 허준은 왕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하고 정3품 벼슬과 어의원 수석으로 승진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허준은 의학 연대기를 구하고 재정비한 공로로 정1품 벼슬을 받았다. 이후 그는 모든 조선 백성이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어의원 연대기를 공개할 것을 선조에게 권고했다.

광해군 즉위 후 허준은 반역자로 몰렸지만, 광해군은 그의 업적을 고려하여 형벌을 감경하고 유배형을 선고했다. 남쪽에서 허준은 의학 서적 동의보감을 출판했고, 1611년 광해군은 그를 궁궐로 소환했지만, 허준은 이를 거절하고 고향에서 환자를 치료했다. 전국적인 역병이 발생하자 허준은 치료법 연구를 위해 어의원으로 소환되었지만, 연구 중 역병에 걸려 1615년 사망했다.

; 선조: 박찬환

: 조선 제14대 왕.

; 공빈 김씨: 박주미

: 선조의 제1 측실.

; 인빈 김씨: 장서희

: 선조의 제2 측실.

; 광해군: 김승수

: 공빈의 제2 왕자, 훗날 조선 제15대 국왕.

4. 1. 허준

전광렬이 연기한 주인공 허준은 조선 신분제 사회에서 천민 출신으로 태어나, 밀무역에 가담하는 등 좌절된 삶을 살았다. 하지만 경상도 산음에서 명의 유의태를 만나 의술을 배우면서, '심의(心醫)'를 지향하는 참된 의원으로 성장한다.

허준은 스승 유의태에게서 의술뿐 아니라 환자를 진심으로 위하는 마음을 배운다. 그는 의과 과거 시험을 보러 가는 도중에도 위급한 환자를 지나치지 못하고 치료할 정도로 환자를 우선시했다. 내의원에 들어간 후에도 모두가 꺼리는 혜민서 근무를 자원하는 등 출세보다는 환자 치료에 헌신했다.

허준은 뛰어난 의학적 재능과 끊임없는 노력으로 빠르게 실력을 키웠다. 특히 스승 유의태가 자신의 몸을 해부하여 의학 연구에 기여하라는 유언을 남긴 후, 허준은 해부학적 지식을 넓혀 더욱 뛰어난 의원이 되었다. 그는 공빈 김씨와 그 동생을 치료하며 선조의 신임을 얻었고, 임진왜란 중에는 의학 서적을 지켜냈다. 이후 광해군 대에 이르러서는 동의보감을 편찬하여 조선 의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겼다.

허준은 신분 차별과 역경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지키며, 헌신적인 치료를 통해 수많은 사람들을 구제했다. 그는 역병이 돌 때 자신의 몸을 돌보지 않고 치료법을 연구하다 결국 역병으로 사망할 정도로 환자를 위해 헌신했다.

4. 2. 유의태

이순재가 연기한 유의태는 허준의 스승으로, 드라마 속에서 허구로 설정된 인물이다. 유의태는 경상도 산음에서 의원을 하며, 허준에게 의술뿐만 아니라 의사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을 가르친다. 그는 한때 허준을 파문하기도 하지만, 허준이 진정한 의원으로 성장하려는 강한 의지를 인정하고 다시 받아들인다.

유의태는 가난한 사람들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반위에 걸려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그는 죽음이 가까워졌음을 깨닫고, 제자인 허준에게 당시 금기시되었던 해부를 통해 자신의 몸을 연구하여 의술을 발전시키고, 이를 통해 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돕도록 유언을 남긴다. 그는 자신의 손목을 그어 자해하는 방식으로 생을 마감한다.[7]

유의태의 모델은 17세기에 실존했던 유이태로 알려져 있지만, 드라마에서는 허구의 인물로 설정되었다. 유의태의 아들 유도지(김병세 분)는 아버지와 같은 의원이지만, 오만한 성격으로 환자를 배려하지 않고, 허준에게 적대감을 품는다. 유도지는 과거에 합격하지만 아버지에게 절연당하고, 내의원에 들어간 후에도 순탄치 않은 길을 걷는다.

4. 3. 예진

황수정이 연기한 예진은 드라마 허준의 등장인물이다. 어린 시절 부모를 여의고 아버지의 친구였던 유의태에게 거두어져 유의원에서 의술을 배웠다. 허준이 유의원에서 의술을 배우며 두각을 나타내자 그에게 마음을 빼앗기게 된다.

이후 스승 유의태가 죽기 직전, 예진은 산음을 떠나 한양으로 상경하여 의녀가 된다. 약방 기생, 명나라 사신의 첩으로 지명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으며, 내의녀가 된 후 내의원에서 허준과의 관계가 소문나 궁중에서 표면화된다. 결국 예진은 허준의 앞날을 위해 상화에게 허준을 부탁하고 궁을 나와, 과거 난치병(한센병) 환자를 돌보았던 삼적사로 돌아가 여생을 삼적 대사 밑에서 일하기로 결심한다. 허준의 사후에는 그의 묘소를 여제자와 함께 방문한다.

예진은 허준을 흠모하며 돕는 의녀로서 드라마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허준과의 관계는 플라토닉하게 유지되지만, 서로에게 깊은 영향을 주고받는 사이로 묘사된다. 예진은 허준의 의학적 스승인 유의태의 밑에서 의술을 배우며, 허준에게 약재 사용법을 가르쳐주기도 한다. 혜민서에서 간호사로 일하며 허준을 다시 만나고, 비밀리에 그를 사랑하는 감정을 키운다.

예진은 드라마 속 허구의 인물이며, 17세기에 실존했던 유이태를 모델로 한 가상의 인물인 유의태의 수양딸이다.

4. 4. 이다희

허준의 아내 이다희는 양반 출신이다. 역적으로 몰려 아버지를 잃고 도망치던 중 허준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른 것을 계기로 허준과 인연을 맺는다. 쫓기는 신세였으나 허준 덕분에 신분을 회복한다. 허준과 다시 만나기 위해 신분을 버리고 결혼하며, 허준을 위해서라면 어떤 고생도 마다하지 않는 현명하고 강인한 여성이다. 한마디로, "조강지처"의 표본이라고 할 수 있다.

4. 5. 유도지

김병세가 연기한 유도지는 이순재가 연기한 유의태의 아들이다. 아버지 유의태처럼 의원이지만, 어머니를 닮아 오만한 성격을 지녔다. 환자를 배려하는 마음이 부족하고, 뛰어난 허준에게는 강한 적대감을 보인다.[1]

유도지는 과거에 합격했지만 아버지 유의태에게는 인정받지 못하고 의절당했다. 내의원에 들어간 초기에는 양예수의 눈에 띄어 순조롭게 출세했지만, 여자 문제 등으로 좌천되어 절망적인 나날을 보내기도 했다.[1] 시간이 흘러 내의원의 내의정(정3품 당하 상당)이 되었고, 허준이 어의가 된 후에도 유임되었지만, 과거의 의술 자세를 뉘우치게 된다.[1] 허준이 유배형에 처해진 후에는 어의가 되어 유배지에 있는 허준과 협력하여 의서 집필에 힘을 보탰다.[1]

4. 6. 기타 등장인물


  • '''허준''' (호준): 전광렬
  • : 주인공. 천민 출신 어머니에게서 태어나 차별받는 환경에서도 의술을 배우고, 뛰어난 실력과 환자를 위하는 마음으로 내의원에 들어가 어의(왕의 주치의)까지 오른다. 임진왜란과 같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도 의술을 펼치며, 마지막까지 백성을 위한 의원으로 남는다.
  • '''예진'''(예진): 황수정
  • : 어린 시절 부모를 잃고 유의태에게 의술을 배운다. 허준에게 마음을 빼앗기지만, 의녀가 되어 허준을 돕는다.
  • '''이다희'''(다희)(李多喜): 홍충민
  • : 양반 가문 출신이나 역적으로 몰려 쫓기는 신세가 된다. 허준의 도움으로 신분을 회복하고, 그의 헌신적인 아내가 된다.
  • '''유의태'''(柳義泰): 이순재
  • : 허준의 스승. 의술뿐 아니라 의원으로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을 가르친다. 위암으로 생을 마감하며 허준에게 자신의 몸을 해부하게 하여 의학 발전에 기여한다.
  • '''유도지'''(도지)(柳道知): 김병세
  • : 유의태의 아들. 아버지처럼 의원이 되지만, 허준에게 적대감을 품는다. 내의원에서 승진하지만, 후에 자신의 의술 자세를 뉘우친다.
  • '''임오근'''(林五根): 임현식
  • : 유의태의 첫 번째 제자. 내의원 약방에서 일하며, 홍춘과 결혼한다.
  • '''구일서'''(具一筆): 이희도
  • : 백정 출신의 사냥꾼. 허준 가족을 따라다니며 돕는다.
  • '''양태'''(良太): 임대호
  • : 허준의 심복.
  • '''김민세'''(金民世, 삼적(三寂)대사): 정욱
  • : 전직 내의원 궁중 의관. 한센병 환자를 치료하며 허준에게 의술을 가르친다.
  • '''양예수'''(楊禮壽): 조경환
  • : 내의원 최고의 실력자. 허준의 실력을 인정하고 어의 자리를 맡긴다.
  • '''손 씨''': 정혜선
  • : 허준의 어머니.
  • '''허겸''': 오태경
  • : 허준과 다희의 장남.
  • '''안광익'''(安光翼): 한인수
  • : 전직 내의원 궁중 의관. 허준의 또 다른 스승.
  • '''김상화'''(金相和): 여현수
  • : 삼적대사의 양자. 혜민서에서 의관으로 일한다.
  • '''수연''': 권연우
  • : 한센병 환자였다가 완치 후 의녀가 된다.
  • '''선조''': 박찬환
  • : 조선 제14대 왕. 허준의 의술을 신뢰한다.
  • '''공빈 김씨''': 박주미
  • : 선조의 측실.
  • '''인빈 김씨''': 장서희
  • : 선조의 측실.
  • '''인목왕후''': 홍은희
  • : 선조의 계비.
  • '''광해군''': 김승수
  • : 공빈 김씨의 아들. 조선 제15대 왕.
  • '''정성필'''(鄭成弼): 박영지
  • : 광해군의 왕위 계승을 방해하는 인물.
  • '''성인철'''(成仁哲): 변희봉
  • : 허준에게 신뢰를 보내는 전직 좌의정.
  • '''정착'''(鄭錯): 박종관
  • : 내의원 전 판관.
  • '''김공량''': 최상훈
  • : 인빈 김씨의 오빠.

5. 의학적 업적

허준은 스승 유의태의 가르침과 자신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의술을 펼치며 많은 업적을 남겼다. 특히, 위암으로 숨을 거둔 유의태의 시신을 해부하며 해부학 및 생리학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7] 이는 허준의 의학 지식을 크게 향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허준은 어의원에 들어가기 전에도 혁신적인 치료법으로 목을 매 자살을 시도한 환자를 소생시키는 등 뛰어난 의술을 선보였다. 고위 양반 부인의 뇌졸중을 치료하여 어의원에 추천받기도 하였다. 어의원에 들어간 후에는 스승의 아들 유도지와 경쟁하고, 과거 스승에게 패배했던 어의 영의 견제를 받았지만, 실력으로 극복하고 왕실의 신임을 얻었다.

선조 재위 22년(1589년), 전국적인 역병이 발생했을 때 허준은 역병 지역으로 가서 치료법을 연구하여 백성을 구했다. 임진왜란 중에는 궁을 탈출할 때 모든 의학 서적을 구출하고, 전쟁 후 어의원 서적을 재정비하는 공을 세웠다.

5. 1. 《동의보감》 편찬

동의보감허준조선 선조의 명을 받아 편찬한 의학 서적이다. 임진왜란으로 인해 일시 중단되었던 편찬 작업은 허준이 유배지로 간 후에도 계속되어 1610년에 완성되었다.

허준은 조선 백성들이 중국의 의서와 의술에 의존하는 대신, 우리 산천에서 나는 약재와 우리 백성에게 맞는 의술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는 염원을 담아 동의보감을 편찬하였다. 이는 현재에도 동양 의학의 정수로 널리 읽히고 있다.

동의보감광해군 때 허준이 유배지에서 완성한 의학서로, 1611년 광해군은 허준에게 특사를 내리고 궁궐로 불렀으나, 허준은 이를 거절하고 고향으로 돌아가 환자를 치료했다. 이후 전국적인 역병이 발생하자 허준은 어의원으로 소환되어 치료법을 연구했고, 연구는 성공했지만 허준은 지쳐서 역병으로 1615년에 사망했다.[15]

5. 1. 1. 편찬 배경과 과정

선조의 명으로 허준은 의학 서적 편찬 작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임진왜란으로 인해 이 작업은 중단되었다. 허준은 유배 생활 중에도 연구를 계속하여 1610년에 마침내 동의보감을 완성했다.

5. 1. 2. 내용 구성과 특징

허준은 천민 출신 허준이 경상도 산음에서 명의 유의태의 제자가 되면서 의학에 입문하여 어의원에 들어가기까지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스승 유의태의 죽음과 시신 해부를 통해 의학적 지식을 넓히고, 어의원 입성 후에도 끊임없는 연구와 헌신으로 백성들을 위한 의술을 펼치는 모습이 감동적으로 그려진다.[1]

허준은 어의원에서 스승의 아들 유도지를 만나고, 과거 스승에게 패배했던 어의 영의 견제를 받지만, 끈기와 실력으로 극복해 나간다. 왕실의 신임을 얻어 어의원 수석의 자리에 오르고, 임진왜란과 같은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도 의학 서적을 지키고 백성을 치료하는 데 헌신한다.[1]

광해군 즉위 후 허준은 역적으로 몰려 유배를 가지만, 그곳에서도 굴하지 않고 의학 연구에 매진하여 동의보감을 완성한다. 역병 치료를 위해 헌신하다 죽음을 맞이하는 허준의 마지막 모습은 백성을 위한 진정한 의원의 모습을 보여준다.[1]

5. 1. 3. 의학사적 의의

허준은 1610년에 의학 서적 동의보감을 출판했으며, 이 책은 동아시아 의학 문헌의 고전으로 여겨진다.[15]

5. 2. 기타 의학 활동

허준은 동의보감 외에도 《언해두창집요》, 《언해구급방》, 《언해태산집요》 등 여러 의서를 저술했다. 남쪽 지방에 역병이 돌았을 때, 허준은 이를 막기 위해 노력했으나 결국 자신도 역병에 걸려 세상을 떠났다. 그는 평생 사용했던 침을 움켜쥔 채 숨을 거두었다.[8]

6. 평가

드라마 허준은 방영 당시 한국에서 63.5%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이 드라마는 조선 신분제 사회에서 허준이 겪는 차별과 역경, 그리고 의학적 성취를 감동적으로 그려냈다.

해외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았는데, 2003년 대만, 2005년 홍콩에서 방영되었고, 중국에서는 2006년부터 정식 방영되었다. 일본에서는 2007년 '허준 ~궁정 의관으로 가는 길~'이라는 제목으로 방송되어 호평 속에 재방송되었고, 2013년 BS닛테레에서 다시 방영되었다.

원작 소설 '소설 동의보감'은 일본에서 '허준 - 의술의 길에 도달하다'로 번역 출간되었고, 문고판으로도 간행되었다. 2013년에는 MBC에서 리메이크판인 '구암 허준'이 방송되었다.

허준의 이야기는 단순한 성공 스토리를 넘어, 신분제 사회의 모순과 인간 존엄성, 의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깊은 성찰을 담고 있다.

6. 1. 긍정적 평가

허준은 의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으며, 매우 학구적인 인물이었다. 스승 유의태는 허준이 가난한 환자들에게 진료비를 받지 않고 무료로 진료하는 것을 보고 크게 기뻐했다. 뇌졸중으로 쓰러진 고위 양반 부인을 치료하여 어의원에 들어갈 추천서를 받을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았다.

위독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의학 시험에 응시하지 못했지만, 이로 인해 오히려 그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다. 스승 유의태는 위암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자 자신의 시신을 허준에게 해부하도록 하여 허준의 의학 지식을 더욱 향상시켰다.

어의원 수석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왕자를 치료하고, 임진왜란 당시에는 궁궐의 의학 서적을 보존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또한, 모든 백성이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의학 지식을 대중에게 공개할 것을 건의하였다.

유배 생활 중에도 의학 연구에 매진하여 동의보감을 저술하는 업적을 남겼다. 동의보감은 동양 의학의 고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전국적인 역병이 발생했을 때, 허준은 치료법을 연구하다가 과로와 역병으로 인해 사망하였지만, 그의 헌신은 전국적인 애도로 이어졌다.

6. 2. 부정적 평가

허준은 뛰어난 의술을 지녔지만, 정치적인 상황과 맞물려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선조의 죽음에 대한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했는데, 어의원 수석으로서 왕의 병을 치료하지 못하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당시 법 때문이었다. 광해군은 즉위 후 허준을 반역자로 몰았으나, 그의 업적과 명망을 고려하여 유배형으로 감형했다.

허준은 광해군과의 관계에서도 갈등을 겪었다. 영창대군과 광해군 사이의 궁중 권력 다툼이 벌어졌을 때, 허준은 의사는 정치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는 소신을 지키며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려 했다. 그러나 광해군이 왕위에 오른 후, 선조의 죽음에 대한 책임을 물어 허준을 유배 보냈다.

6. 3. 현대적 의의

허준의 삶은 현대 사회에도 중요한 교훈을 준다. 허준은 신분 차별에도 불구하고 의학에 대한 열정과 노력으로 뛰어난 의원이 되었다. 특히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의료 활동은 의료 윤리와 공공 의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의 역병 치료 노력과 동의보감 편찬은 질병 극복과 의학 지식 공유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보여준다.

7. 대중문화 속 허준

허준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한 형태로 재창조되었다.

1976년 이은성은 허준의 생애를 소재로 한 시나리오를 쓴 연속극 '집념'을 MBC에서 방송했다.[1] 1990년에는 이를 바탕으로 소설 '허준'을 발표하여 300만 부 이상 판매되었으나, 집필 중 사망하여 미완으로 남았다.[1] 1999년에는 '소설 동의보감'을 원작으로 한 MBC 드라마 '허준'이 방영되어 한국에서 63.5%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1] 이 드라마는 2003년 대만, 2005년 홍콩, 2006년부터 중국에서도 정식 방영되었다.[1]

일본에서는 '허준 ~궁정 의관으로 가는 길~'이라는 제목으로 2007년 4월 2일부터 6월 29일까지 BS아사히에서 방송되었고,[1] 호평으로 같은 해 8월 29일부터 매주 수요일 재방송되었다.[1] 2013년 9월 4일부터 12월 4일까지는 BS닛테레에서 방영되었다.[1] '소설 동의보감'은 일본에서 '허준 - 의술의 길에 도달하다'로 번역되었으며,[1] 문고판 '허준 궁정 의관으로 가는 길'도 간행되었다.[1]

2013년 3월부터 9월까지 MBC에서 '허준'의 리메이크판인 '구암 허준'이 방송되었다.[1]

7. 1. 드라마 "허준"

1999년 11월부터 2000년 7월까지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허준"은 소설 동의보감을 원작으로 한 총 64부작 드라마이다. 평안북도 용천 군수의 서자 허준(전광렬 분)이 우연히 반역죄인의 딸 다희(홍충민 분)를 만나 사랑하게 되지만, 밀무역 사건에 연루되어 경상도 산음(현재의 산청군)으로 도망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7]

산음에서 명의 유의태(이순재 분)의 밑에서 의술을 배우게 된 허준은 사람을 살리는 의술의 가치와 의원으로서의 자세를 깨닫는다. 스승 유의태의 죽음과 해부를 통해 의학적 발전을 이루고, 내의원에 들어가 의술을 펼치고자 노력한다. 하지만 유의태의 아들 유도지(김병세 분)와의 갈등, 험난한 고난 속에서도 허준은 뛰어난 의술과 진정성으로 왕실의 인정을 받게 되고, 정승의 반열까지 오르게 된다.

선조(박찬환 분)의 죽음 이후 유배를 떠나기도 하지만, 허준은 굴하지 않고 의학 연구에 매진하여 동의보감을 집필하는 업적을 남긴다. 드라마는 조선 선조 시대를 배경으로, 허준의 일생과 의학적 업적을 통해 인간애와 헌신, 그리고 끊임없는 탐구 정신을 보여준다.

드라마는 방영 당시 한국에서 63.5%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며, 2000년 MBC 연기대상에서 황수정이 여자 최우수연기상과 방송기자단 선정 올해의 탤런트상을, 전광렬이 대상을 수상했다. 또한 2000년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인기상 (전광렬), 2000년 제27회 한국방송대상 TV드라마부문 우수작품상/TV프로듀서상 (이병훈)/작가상 (최완규) 등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7. 2. 기타 작품

1976년 이은성이 허준의 생애를 소재로 시나리오를 쓴 연속극 '집념'이 MBC에서 방송되었다.[1] 이은성은 이를 바탕으로 1990년 소설 허준을 발표하여 300만 부 이상 판매되었으나, 집필 중 이은성의 사망으로 미완으로 남았다.[1]

1999년에는 '소설 동의보감'을 원작으로 MBC에서 드라마 '허준'이 방영되어 한국에서 63.5%의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1] 2003년에는 대만, 2005년에는 홍콩, 2006년부터는 중국에서도 정식 방영되었다.[1]

일본에서는 '허준 ~궁정 의관으로 가는 길~'이라는 제목으로 2007년 4월 2일부터 6월 29일까지 BS아사히에서 방송되었고,[1] 호평으로 같은 해 8월 29일부터 매주 수요일 재방송되었다.[1] 2013년 9월 4일부터 12월 4일까지는 BS닛테레에서 방영되었다.[1]

'소설 동의보감'은 일본에서 '허준 - 의술의 길에 도달하다'로 번역되었으며,[1] 문고판 '허준 궁정 의관으로 가는 길'도 간행되었다.[1]

2013년 3월부터 9월까지 MBC에서 '허준'의 리메이크판인 '구암 허준'이 방송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al Drama and Future https://web.archive.[...] 2013-02-01
[2] 웹사이트 Huh Joon - คนดีที่โลกรอ หมอโฮจุน http://www.blike.net[...] 2015-09-05
[3] 웹사이트 Korean Wave Finds Welcome in Iraq https://web.archive.[...] Korean Culture and Information Service 2012-07-13
[4] 웹사이트 Kim Joo Hyuk seeks to bring his new interpretation of Heo Jun in ''Gu Am Heo Jun'' https://web.archive.[...] 2013-03-06
[5] 웹사이트 'Hur Jun, the Original Story' script reading of MBC's new drama series http://content.mbc.c[...] 2013-03-07
[6] 웹사이트 Period piece overload? Spring drama lineup goes heavy on historical settings https://web.archive.[...] 2013-03-13
[7] 문서 환자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으로 여기는 자비를 뜻함. 비슷한 말로 긍련히 여김.
[8] 문서 약재를 알약의 형태로 뭉쳐 만든 약을 말한다.
[9] 문서 양천허씨 세보에는 안동김씨로 되어 있다.
[10] 뉴스 사랑과 의술을 남기고 허준은 떠났다 https://web.archive.[...] 주간한국 2000-06-28
[11] 뉴스 전광렬 ‘허준’ 2000년 후 최고 드라마 50%대 시청률 유일 http://isplus.joins.[...] 일간스포츠 (뉴스엔 인용) 2007-10-13
[12] 뉴스 ‘허준’ 주역들, 전광렬·황수정 지금은? [스타 Before & After]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3-04-09
[13] 뉴스 방송사 드라마 '삼각관계' 남발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0-02-14
[14] 뉴스 김상중·송윤아 ”사극 출연할걸” http://isplus.live.j[...] 일간스포츠 2001-09-16
[15] 뉴스 [불후의명작 ②] 예진아씨 역 고사 오연수, ‘허준’과 맞대결 http://news.joins.co[...] 중앙일보(일간스포츠) 2009-07-30
[16] 뉴스 [스타 Before & After] 1999년 ‘허준’ 황수정, 지금은? https://web.archive.[...] 이투데이 2012-11-12
[17] 뉴스 '허준-대장금'놓친 정선경 "서동요 꽉잡았어요" http://entertain.nav[...]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2005-05-31
[18] 뉴스 동의보감을 펴낸 '집념의 의술 MBC 창사특집극 40부작'허준'제작 현장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9-10-13
[19] 뉴스 SBS 새주말극 '그래도 사랑해' 출연 '탤런트 홍리나'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1-01-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